젤리스톤갤러리는 4월 16일부터 정보 경 작가의 [주변인(周邊人)] 展을 개최합니다. 오랫동안 화려한 색채의 꽃과 실내 풍경으로 우리에게 시각적 즐거움을 선사해온 작가는 이제 자기 안의 두려움, 불안함, 공포, 슬픔 등 숨기고 싶던 감정을 밖으로 끌어내기 시작했습니다. 이번 전시를 통해 작가 특유의 강렬한 색채와 터치뿐 아니라 실물과 닮은 것 같기도 하고 닮지 않은 것 같기도 한 작가의 주변인들, 주변인들이 작가를 바라보는 불안정한 눈빛들, 불편한 자세들, 그런 주변인의 모습을 통해 작가가 말하고자 하는 단 하나의 감정을 만나보세요.

작가노트

…2021년 올해부터는 보다 명확해진 나의 의식을 다른 사람의 모습을 빌려 표현하는 시도를 하고자 한다. 주인의 관심을 잃은 예쁜 바비인형, 작가로서의 삶과 주부로서의 삶 사이를 오가며 투쟁하는 전사, 곧 녹아 사라질 얼음덩어리와 같은 영원한 사랑, 명품 인생을 살아가는 우는 얼굴, 그저 편안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불편한 가짜 사랑… 현실비판적인 시각으로 모두에게 질문을 던진다. 무엇이 진짜 사랑인지, 무엇이 올바른 삶인지, 과연 그런 것들이 존재하는지, 자본주의의 달콤함에 빠져 있는 우리의 실제 모습은 무엇인지… 작품과 대비되는 모순적인 제목은 관람자들의 머리를 도끼로 내리치는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평론

몸으로부터

최태만/미술평론가·몽상가

교차하는 시선

퀭한 눈은 슬픔을 담은 것일까, 세상에 대한 두려움을 드러내는 것일까. 아니면 그 눈은 무언가 호소하는 눈빛이거나 모델로서의 지루한 시간에 갇혀, 어쩔 수 없이 생각을 멈춰야 하는, 또는 다른 세계에 대해 상상하는 눈일 수도 있다. 하반신을 벗은 채 두 팔을 무릎에 올려 구부린 상체는 중력을 잃은 듯 화면 위에 부유하고 있다. 흘러내린 물감의 흔적을 제외하면 배경은 거의 텅 비어있다. 그래서일까. 검은 긴 머리에 싸인 얼굴은, 허리를 숙이고 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화면 전체로 돌출하며 보는 나의 시선을 끈다. 유달리 큰 눈, 맑은 흰자위 속에서 빛나는 눈동자는 촉촉하게 젖어있는 듯하다. 빠르고 활달하기 때문에 거친 붓질은 이 인물을 재현이 아닌 표현의 영역으로, 더 나아가 감각이 살아있는 신체로 만들고 있다. 덜 그린 듯한, 즉 재현과 묘사를 포기한 순간 화면에서 신체는 대상이자 주체로 새로운 시간을 가진다. 그래서 내가 보는 것은 잘 재현된 인물의 외양이 아니라 작가의 감각이 살아 꿈틀거리는 붓질과 색채의 율동이자 활력이다. 그런데 그 눈을 슬픔이나 두려움으로 보려는 이유는 무엇일까. 보는 눈의 타성에 젖은 습관 탓일까, 아니면 내가 그렇게 보기를 원하기 때문일까. 그것은 그려진 대상을 나의 망막과 시신경으로 보았지만, 나의 마음이 반응한 결과이기 때문에 주관적일 수밖에 없다. 이러한 추론과 해석은 대상과의 상호작용의 결과라기보다 대상을 타자화한 것이므로 나는 그려진 대상을 평형선 위에서 관찰하는 존재가 된다.

관찰자로서 나는 그(그림)를 본다. 그렇다면 그림은, 그려진 대상은 단지 보여지는 존재일까. 나의 시선은 이 인물의 표정과 눈동자로부터 고양이의 눈으로 이동한다. 고양이는 그림 앞에서 고개를 갸웃하며 짐짓 의미를 추적하려는 나를 ‘물끄러미’ 바라본다. 관찰자의 신체가 고양이의 응시에 의해 전면적으로 노출된 셈이다. 동물의 행동심리에 대해 전혀 모르는 나로서는 더 이상 나아갈 수 없지만 들킨 마음을 숨길 수 없다. 그렇다고 화면에서 유일하게 등장하는 또 하나의 관찰자인 고양이의 존재를 무시할 수도 없다. 그림 속 인물의 퀭한 눈을 유심히 바라보다 문득 고양이의 눈에 의해 포획당한 나를 발견하면서 나의 보는 행위는 역전된다. 내가 보여지고 있다는 사실을 깨닫는 순간 주체의 비틀거림, 현기증과도 같은 관계의 역전, 나는 보는 존재이자 보여지는 존재가 되고 있음을 발견한다.

사실 본다는 것과 보인다는 것의 관계에 대해서는 무수하게 많은 철학자들이 다루었기 때문에 새롭지 않다. 미셀 푸코(Michel Foucault)는 『말과 사물』의 제1장을 벨라스케스의 <시녀들>에 나타나는 보는 것과 보이는 것의 관계를 해석하는데 할애했다. 사르트르 역시 『존재와 무』에서 보는 주체는 전면적으로 보여지는 대상이 될 수 있음을 열쇠 구멍을 통해 실내를 훔쳐보다 지나가는 사람의 발소리를 듣고 흠칫 놀라는 예를 통해 설명하였다. 사르트르의 이원론을 비판한 메를로퐁티(Maurice Merleau-Ponty)에 이르게 되면 이 둘의 관계는 세계와 살(flesh)의 문제로 발전한다. 정신분석학자 라캉(Jacques Lacan)은 시선과 응시에 대한 자신의 이론을 논증하기 위해 홀바인의 <대사들>을 가져왔다. 이 글이 이들의 이론에 도움을 받기는 했으나 그것에 근거하여 정보경의 작품을 해석할 생각은 추호도 없다. 다만 신체, 봄과 보여짐, 보는 방법에 대해서는 앞의 이론과 함께 들뢰즈(Gilles Deleuze)의 『감각의 논리』를 떠올렸음을 밝혀둔다.

다시 정보경의 작품으로 돌아가 보자. 어깨에 겉옷만 걸친 채 드러난 신체, 당당하게 벌린 두 다리, 무표정에 가까운 얼굴. 이 모델(일반인)은 작가를 위해 이른 아침에 서울에서 춘천의 작업실까지 기꺼이 택시를 타고 왔다가 한밤중에 다시 택시로 돌아갔다고 한다. 무엇이 그를 이토록 발가벗도록 만들었을까. 신체는 가려야 한다. 남과 다른 의상으로 가릴 때 나의 존재는 특별한 것이 된다. 의복에 의해 나의 몸은 은폐된다. 옷은 가면처럼 나를 위장하고 나의 살의 감각 또한 세계와의 접촉을 차단당한다. 부끄러움과 함께 예의범절, 교양, 품위, 사회적 위신은 살의 노출을 완강하게 거부하며 내 몸을 사회적 존재로만 드러내도록 한다. 살은 욕망이 거주하는 공간이라기보다 지방이란 물질과 욕망이 만나는 표면이다. 이 당당하게 벗은 육체에서 나는 성적 욕망이나 유혹이 아니라, 그것이 작가 자신이든 모델이든 작품을 보는 우리든, 거울에 비친 자신의 모습을 보고자 하는 욕망을 본다. 캔버스에 칠해진 물감은 살을 육화할 수 없다. 내가 보는 것은 그 물감을 바른 붓의 흔적이다. 표면 위에 미끄러지듯 빠르게 지나간 붓의 길은 작가의 호흡이 손을 통해 지나간 자국이며 대상과의 감정이입보다 거리를 두고 대상의 특징을 포획하려는 작가의 눈이 지나간 길이기도 하다. 이 작품의 냉정함은 그 어떤 서사의 개입도 저지하는 배경, 비어있는 공간에서 정체를 드러낸다. 고양이처럼 더러 작업실의 식물이나 해골 같은 소품이 등장하기는 하지만 인물은 사건이 부재한 공간 속에 덩그러니 앉아있다. 대상에 대한 어떤 추억도 틈입할 수 없는 이 부재의 공간 때문에 주체이자 객체인 몸이 더욱 뚜렷하게 부각된다. 감정을 파악하기 어려운 표정과 정지된 행동은 배경과 함께 신체를 객관화한다. 이 드러난 신체를 통해 불현듯 나는 나의 눈임을 확인한다. 눈은 세계로 향해 열린 내 몸이다. 그림에서 보여지는 대상의 눈이 나를 본다. 그것은 교차하는 시선이다.

냉정한 시선

한껏 멋 부린 그는 다소곳하게 의자에 앉아있다. 챙이 넓은 모자와 여러 겹으로 두른 목걸이, 화사한 꽃무늬가 있는 상의를 입은 그가 나(우리)를 본다. 뚜렷한 이목구비를 지닌 그는 분명히 인상적인 용모를 지니고 있다. 춘천에서 앤티크 샵을 운영하고 있는 사업가인 그는 어느 날 (어쩌다) 모델이 되었다. 정보경의 작품에서 여러 차례 나타나고 있는 그는 최초의 자기 모습에 만족하지 않았다. 그는 (어쩌면) 고전주의 회화에서 봤던 우아하고 품위 있는 초상화를 기대했을지 모른다. 이미 그는 작업실의 난폭하게 그려진 많은 인물화를 봤을 테니까 꼭 그렇진 않을 수도 있다. 그런데 그림 속의 자기를 부정했던 그가 다시 모델이 되었다. 무엇이 그를 그토록 매혹시킨 것일까. 정보경의 거친 붓질이 지닌 ‘낯선 솔직함’ 때문일까. 녹색 모자와 녹색 상의, 녹색 장화를 신고 녹색 소파에 앉아있는 그도 비슷한 경우이다. 음악 전공자인 그는 마트에서 청소노동자로 일하면서도 자신에 대해 감출 것이 없는 당당한 사람이다. 정보경은 가까운 친구는 물론 SNS에서 만난 중년 남성, 자신의 조수, 작품사진을 촬영하던 사진작가, 큐레이터, 헤어 디자이너 등을 모델로 섭외했다. 흥미롭게도 이들은 모두 작가의 제안을 흔쾌히 수락하고 기꺼이 모델이 되었다. 이들은 전시의 제목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작가의 주변인들이다. 물론 작가의 아들은 거의 반강제적으로 엄마 앞에서 옷을 벗어야 했을 것이다. 성공과 실패에 상관없이 이들은 모두 성실하게 자신의 삶을 꾸려가고 있다. 작가는 이들의 삶에 바치는 존경과 예찬으로서 이 그림을 그렸을 것이다.

그러나 내가 관심을 기울이는 것은 최초의 자기 모습을 부정했던 앤티크 샵 대표의 생각이다. 자기가 알고 있던 자신의 모습이 재현되지 않았기 때문일까. 사실 닮음에의 기대는 회화를 유사성의 감옥에 가두는 문제가 있다. 반대로 충실한 재현이 일으킨 재미있는 일화가 있다. 일본 근대기에 다카하시 유이치(高橋由一)란 화가가 일본의 고급 게이샤인 오이란(花魁)을 모델로 초상화를 그렸을 때 정작 그 주인공은 그 그림을 보고 자기와 닮지 않았다고 울음을 터뜨렸다고 한다. 우키요에의 양식이나 방법으로 그려진 미인도에 익숙한 그에게 사실적인 묘사에 충실한 유화는 분명 낯설었을 것이다. 자신의 외양을 충실하게 재현했지만 유화란 재료로 그린 그 사실적 묘사가 너무도 낯설었기 때문에 모델은 그림 속의 인물이 자신이란 것을 부정했다. 그림 속의 이미지가 실재가 아님에도 우리는 재현이 걸어놓은 최면과도 같은 마술의 덫에 갇혀 그것을 실재라고 믿는다. 그런데 앤티크 샵 대표의 부정은 그를 거듭 작업실로 이끌었다. 이제 그는 마술에서 풀려난 것일까. 아니다. 그는 정보경의 특이한 그림에 다시 한번 사로잡혔을 것이다. 거기서 그는 자기 혹은 자기 속의 또 다른 자아를 발견한다. 눈에서 손으로 거침없이 발사되는 작가의 표현방식에는 ‘날 것의 싱싱함’이 있다. 여기에서 작가가 모델을 통해 감정을 표현할 여유는 허락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작가의 몸이 그린다. 그 즉각성과 직접성은 정보경의 작품이 지닌 매력이자 힘이며 다른 인물화와 구별되는 근거이다. 이 찰나적 포착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냉정한 시선이다. 형이상학적 언술이 거주할 수 없는 ‘있는 그대로의 형상’, 화면 위에서 펄떡이는 붓질과 색채, 군데군데 그대로 노출된 밑그림의 선들, 흘러내린 물감의 흔적은 이 작품이 감각의 결과임을 드러낸다. (아마도) 모델을 했던 그는 자신을 더 그럴듯하게 그려달라는 기대가 아니라 감각이 만들어내는 생경함이 지닌 ‘날 것의 싱싱함’으로 미끄러져 들어갔을 것이다.

다시 몸으로부터, 나는 나의 몸이다.

정보경은 어떻게 이런 인물화를 그리게 되었을까. 그에 따르면 외할머니의 임종을 겪으며 어린 시절부터 보았던 외가의 그늘진 삶을 그려야겠다는 생각으로부터 출발했다고 한다. 이 동기는 청년시절의 피카소가 청색시대와 장미시대에 그렸던 숱한 인물들인 거지, 매춘부, 부랑아, 곡예사 같은 사회로부터 뿌리 뽑힌 존재들의 소외에 대한 감상적 시선과도 같은 결과로 발전할 여지가 있었다. 그러나 작가는 청빈을 미덕으로 여기는 박애주의와 눈물 짜는 감상주의에 함몰하지 않았다. 그림 속에 고통, 절망, 환희와 같은 감정의 서사를 표현하는 것이 그가 추구하는 길은 아니었다. 그의 그림에는 6세의 소녀도 모델로 등장하는데 의사인 그의 아버지의 초상도 그렸다. 그런데 작가는 어느 날 ‘문득’ 대상을 사실적으로 묘사하고 있는 자신을 발견했다. 실제로 그의 작업실에서 다른 작품과 다소 결이 다른 인물화를 본 기억이 난다. 가운을 입고 한 손에 해골을 들고 있는 그 인물은 자신의 신분을 그대로 드러내고 있었다. 냉담한 듯, 진지한 듯 혹은 모델로서 심리적 부담으로 경직된 듯한 표정은 (뜻밖에도) 구상회화의 어법을 충실하게 따른 결과 정보경의 인물화에서 특징적인 ‘날 것의 싱싱함’을 결여하고 있었다.

선택과 결정은 단호해야 한다. 묘사를 포기하면서 감정을 대신하여 감각이 전진한다. 내 몸이 타자의 몸을 그린다. 내 몸은 눈이고, 손이며, 신경이다. 눈으로부터 손으로 직진하는 감각은 형상을 묘사의 감옥으로부터 해방시켜 화면을 생동하게 만든다. 그려진 대상은 재현된 것이 아니라 감각으로 느낀 주체이다. 때로 화면 속에 단독자로 덩그러니 나타나기도 하지만 어떤 경우 전사(戰士)처럼 당당하게 등장하기도 한다. 벗은 몸은 옆에 놓인 화분 속의 예리한 잎을 지닌 식물과도 같은 ‘전투적 생명력’을 암시하기도 한다. 그들은 행동이 아니라 눈으로 말한다. 나는 나의 몸이다. 물론 이 문장은 메를로 퐁티의 『지각의 현상학』에서 빌려 온 것이지만 정보경의 작품에서 나는 ‘문득’ 주체로서의 몸을 깨닫는다. 몸은 보이는 대상으로만 그치지 않는다. 그것은 나 자신과 세상을 바라보는 눈이자 나의 얼굴이고

 나를 구성하는 세포이자 살이며, 뉴런이자 자아정체성 그 자체이다. 동시대 미술에서도 포스트 휴먼 논의가 일어나고 있는 만큼 몸이 자아정체성의 표지(標識)라고 말하면 시대착오적일 수 있다. 그러나 정보경의 작품을 보면서 나는 나의 몸이다란 사실을 새삼 발견하게 된다. 이 글을 읽는 당신은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작가 약력

정보경 (b.1982~)

@bokyung_joung

2013-14홍익대학교 회화과 강사 역임

학력

2012홍익대학교 일반대학원 회화과 졸업
2008홍익대학교 회화과 졸업, 홍익대학교 섬유미술 패션디자인과 졸업
2001선화예술고등학교 서양화과 졸업

개인전 

2021주변인, 얼터사이트계선, 서울
2020사람들, 아트숲 갤러리, 부산
나를 대면하다, 파피루스, 춘천
2019안락의 그늘, 세줄 갤러리, 서울
2018채색된 내면 : 얼굴들의 빈방, 에이바이봄, 서울
색채의 공간, 갤러리 다함, 안산
2017채색된 실내 : 기억의 색채, 아트숲 갤러리, 부산
채색된 실내 : 기억의 색채, 갤러리 위, 서울
2014욕망의 꽃, IFC, 서울
봄 그리고 설레임, 정암아트 갤러리, 서울
색채의 정원, 아침고요 갤러리, 가평
2013욕망의 꽃, 아산병원 갤러리, 서울
2012욕망의 꽃, 갤러리 위, 서울
욕망의 꽃, 갤러리 KU, 서울
욕망의 꽃, 갤러리가이아, 서울
2011욕망의 꽃, 갤러리K, 서울
2008피어나다, 갤러리 각, 서울

주요 단체전 

2021말하고 싶다, 담빛예술창고, 담양
말하고 싶다, 나무화랑, 서울
2020밤과 낮의 소리, 슈페리어 갤러리, 서울
네 친구, 인디프레스 갤러리, 서울
2019100 MOVIES 100 ARTISTS, 롯데갤러리 잠실 에비뉴엘 아트홀, 서울
2018Botanic Garden, 아트 메이저, 서울
2017I DREAM 자선 경매전, 딜라이트 스퀘어 갤러리, 서울
Hot Summer – 뜨거운 것이 좋아, 갤러리 아트숲, 부산
현대미술경향읽기, 아미미술관, 당진
2016힘있는 강원전, 춘천박물관, 춘천
art and the city, 위아트갤러리, 서울
2015한•중남미 미술교류전, 비프힐 영화의 전당, 부산
2014착한 아티스트 & 착한 가방, 서울대학교병원 착한가게, 서울
2012Small Masterpiece, 롯데백화점, 서울·부산
House of the Edition, 신세계백화점본점 갤러리, 서울
2011AND…TOGETHER, 진화랑, 서울
2009傳展_전하다,펼치다, 홍익대학교 현대미술관, 서울

아트페어

2021URBAN BREAK 2021, 코엑스, 서울
2020KIAF ART SEOUL 2020, 온라인 뷰잉룸, 온라인
2019서울아트쇼, 코엑스, 서울
대구아트페어, 엑스코, 대구
아트아시아, 코엑스, 서울
하버아트페어, 마르코폴로호텔, 홍콩
2018KIAF 2018 ART SEOUL, 코엑스, 서울
아트부산, 벡스코, 부산
2017대구아트페어, 엑스코, 대구
광주국제아트페어, 김대중컨벤션센터, 광주
KIAF 2017 ART SEOUL, 코엑스, 서울
LA 아트쇼, LA convention center, LA
2016어포더블 아트페어, 동대문디자인플라자, 서울

작품소장 

2021(주)계선
2019광주시립미술관
2013서울아산병원, 화이트메디컬 그룹
2010, 2007, 2006삼성TESCO ‘Home Plus’
2009KASCO
2006한국공예문화협회

국가공모선정

2020예비전속작가지원, 예술경영지원센터
문화예술육성지원, 춘천문화재단
2019전문예술창작지원, 강원문화재단
2018생애최초지원프로젝트, 강원문화재단

From the Body 

Choi, Taeman/ Art Critics and Daydreamer

Crossing eyes 

Are those knackered eyes for sadness or fear? Or those eyes might be telling something or deprived of thoughts trapped in time being a model or dreaming for another world. The top body is floating on the screen being bent over two arms on the knees of the nude lower body. Except for the dripped painting, the background is almost empty. Maybe that is why the protruding face covering the screen caught my eyes, and the face covered in black long hair bending its back might also be the reason. Unusually big eyes and bright pupils in the white seemed to bedewing. The fast and active, therefore, rough painting make this person, not a reproduction but an expression and body with live senses. The moment you give up reproduction and description and leave room for fulfillment is the moment the body becomes an object and subject having its moment on the screen. That is why I see the dance and energy from the live wriggling painting of the Artist and the not well-reproduced exterior of an object. However, why do I see the eyes as sadness or fear? Is it because of my rut habit? Or is this me wanting to see it that way? It has to be subjective because it is the conclusion of my mind even though my retina and optic nerve saw the object in painting. This reasoning and renderings are not the results of interaction; I just objectified the object so I am only observing the object from a parallel line. 

As an observer, I see the painting. Does that mean the painting is only the object to be shown? My eyes move from the expressions, eyes of the person, and to the eyes of the cat. The cat “stares” at me, the person standing in front of the painting trying to trace the meaning of it. The body of the observer is exposed to the gaze of the cat. I cannot step up as I know nothing about the behavioral psychology of animals, and I cannot hide my thoughts, one that is already exposed. I cannot ignore the cat, one and only observer from the screen and another observer other than me. The situation is reversed at the moment I found myself caught in the eyes of the cat while peering at the knackered eyes. When I realized that I have been shown, the object is twisted and the situation is reversed with dizziness; I am now the object to be shown, turned from the subject of seeing.  

A number of philosophers already studi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eing and being shown so there is nothing new about it. Michel Foucault spent the whole chapter one of the Order of Things: An Archaeology of the Human Sciences to interpret the relationship between seeing and being shown in the Maids of Honors of Diego Rodríguez de Silva y Velázquez. Jean-Paul Sartre explained that any object can be exposed to being shown from seeing someone by giving an example of a person startling when the person hears footsteps of a person while sneak peeking through a keyhole in Being and Nothingness. When we get to Maurice Jean Jacques Merleau-Ponty, the person who criticized the dualism of Sartre, the relationship between seeing and being shown becomes the problem of the world and the flesh. The psychoanalysis Jacques Lacan borrowed The Ambassadors of Hans Holbein the Younger to reason the eyes and gaze. Those theories helped me write these pieces, however, I am not trying to interpret the art of Joung Bokyung based on their theories. I just thought about Francis Bacon: The Logic of Sensation by Gilles Deleuze as well as those theories. 

Let’s go back to the painting of Joung Bokyung; an exposed body with only outerwear on its shoulder, legs widely open, expressionless face. This model (not a professional model) came to Bokyung’s workplace in Chuncheon from Seoul in the early morning via taxi and went back to Chuncheon via, again, taxi just for the Artist. What made this person take off the clothes? The body has to be covered. When I cover my body with different clothes than other people, I become special. Clothes conceal my body. Clothes disguise me and block the touch of my flesh with another world. Culture, dignity, social position as well as politeness rejects exposure of my flesh and only allow expose my body as a social object. The flesh is a surface where fat and avidity meet, not where the avidity resides. From this confidently nude body, I see avidity; the avidity to find oneself reflected from the mirror whether it is the artist herself, the models, or us looking at the painting, and not any sexual avidity or temptation. You cannot incarnate the flesh painted on canvas. I only see the stain of the brush that painted them. The ways of the brush passing the canvas fast and smoothly are the stains of the breath of the painter left by her hands, and it is also the passage of the painter’s eyes who tried to capture the traits of the objects from distance rather than from emotion. The coolness of the painting exposes itself from the background, the space without any intervention of stories. Cat, plants and skull, the props from the studio sometimes come into the picture here and there, but the person is just sitting there in an empty space. This emptiness of the space without any room for memories highlights the body of the object and, that is subject. The hard-to-tell facial expressions and halted motions objectify the body with the background. Through this exposed body, I reconfirm my eyes are my eyes. Eyes are my body open to the world. The objective in the painting sees me. That is the crossing eyes. 

Cold eyes 

The dressed-up model is modestly sitting on a chair. The person wearing wide hats, multiple layers of necklaces, eye-catching flower-painted tops sees me or us. The person with a distinctive face is standing out. This model is a business person running an antique shop, and the person became a model one day by accident. The model, appearing many times in the paintings of Joung Bokyung, did not like how she looked in the painting in the beginning. She, maybe, expected a graceful portrait that she has seen in classic painting or maybe not because she probably spotted roughly drawn portraits laying in Bokyoung’s workplace. But she who denied herself in the painting volunteered to be model again. What attracted her? Is it because of the strange plainness? The story is similar to the person sitting on a green chair wearing green boots. The model majored in music, is working as a cleaning worker in a supermarket, and does not hesitate to open up herself. Joung Bokyung hired her friends, a middle-aged man she met in SNS, her assistant, her photographer who was taking photos of her paintings, a curator, a hair designer, etc. as her models. Interestingly, all these persons willingly accepted the invitation to be her model. As we can tell from the title of this exhibition, the models are the people around her. Of course, her son probably had little to no choice but to take off his clothes in front of her mother. Regardless of the successes or failures, all these people are sincerely driving their lives. The Artists probably drew these paintings out of respect and praise for their lives. 

I am most interested in the mind of the antique shop owner, the person who denied her paintings in the first place. Did she deny the painting because it did not capture what she thought of herself? The expectation for similarity has issues because it locks the painting inside the prison of similarity. In contrast, there is an interesting story about reproduction. In the late modern period, a painter named Takahashi Yuichi drew a portrait of a classy geisha Oiran, but the geisha busted into tears saying that the painting does not resemble her. The realistic description painted with oil was probably too strange for a geisha who was used to Ukiyo-e’s painting styles or portrait of a beauty. Even though the painting fully reproduced the exterior of the model, the model denied the person in the painting because the realistic description drawn with oil painting was too strange for the model. Even though the images in the painting is not real, we believe it is trapped in the hypnosis magic of the reproduction. The denial of the antique shop owner repeatedly called her into the studio. Is she off the magic? No. She is just trapped into the style of Joung Bokyung. The model discovers another her or ego of herself. The expressions of the Artists, where there is no hesitation from the eyes to the hands and has the freshness of crudeness. There is no room for the Artist to express the emotions through the model. Eventually, the body of the Artists draws the painting. The spontaneous and directnesses are the attraction and power of Joung Bokyung’s painting and it is what distinguishes her paintings from other portraits. This capture of the moment is possible because of the cold eyes. The remaining lines of sketches and dripping paintings show that the painting is the result of sensation. The antique shop model, maybe, fell into the freshness of the crudeness created by the strange feelings and not the expectation to be painted as something better looking.  

Again, from the body; I am my body. 

How did Joung Bokyung end up drawing these types of paintings? She said she wanted to draw the life of her maternal side of the family living under shadow by watching the death of her maternal grandmother. This motivation could be developed as the emotional eyes for the unrooted marginalized objects as Pablo Picasso did in the Blue Period and the Rose Age by drawing baggers, prostitutes, the homeless, and acrobats. However, the Artist did not fall into philanthropism where clean is the norm of life nor the sentimentalism where brings tear in everything. She did not mean to express despair, hopelessness, happiness, or other emotional stories in her painting. In one of her paintings, there is a six-year-old model, and the Artist also drew portraits of her father, a doctor. The Artist suddenly realized herself depicting the object realistically. I remember seeing a portrait unlike others in her studio. The person holding a skull in his hand wearing a scrub exposing the social position in the picture. It perfectly followed the grammar of representational painting showing cold, serious, and stringent facial expressions of the model for having a psychological burden for being a model and, as a result, lacking the characteristics of Joung Bokyung’s painting, the freshness of crudeness. 

Choices and decisions must be assertive. When the description is given up, senses moved forward replacing the emotions. My body draws another person’s body. My body is eyes, hands, and nerves. Sense moving straight from the eyes to hands frees the frames from the prison of description making it alive on the screen. The depict objective is not drawn, it is felt. Sometimes it is shown on the screen as a sole representative, but sometimes it walks into the screen like soldiers. The naked body implies combative vitality like the plants with sensitive leaves placed next to the naked body. This sentence is borrowed from Maurice Jean Jacques Merleau-Ponty’s Phenomenology of Perception, but yes I suddenly realize the body as a subject from the paintings of Joung Bokyung. The body is not just an object to be shown. It is my eyes seeing the world, my face, my cell, and flesh composing me, my neuron and self-identity itself. Saying body is an indicator of ego-identity might be anachronistic as there is discussion ongoing for post-humanism in the current era of art. Nevertheless, looking at the pieces of Joung Bokyung, I, again, discover that I am my body. My readers, what is your opinion? 

Artist CV

Joung, Bokyung (b.1982~)

@bokyung_joung

2013-14Lecturer at Hongik University Department of Painting

Education

2012M.F.A., Department of Painting,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2008B.F.A., Departmentof Textile Art Fashion Design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2001Sunhwa Art High school, Seoul, Korea

Solo Exhibition

2021Marginal Man, ALTER SIGHT KESSON, Seoul, Korea
2020People, Gallery, ArtSoop, Busan, Korea
I face me, Papyrus Gallery, Chuncheon, Korea
2019The other side of comfort, Gallery Sejul, Seoul, Korea
2018Painted Inner Face: An Empty Room on the Faces, A.by BOM, Seoul, Korea
ColorSpace, Gallery Daham, Ansan, Korea
2017Painted Inner Space: Color of Memory, Gallery ArtSoop, Busan, Korea
2014The Flower of Desire, IFC, Seoul, Korea
Spring and Excitement, Jeongam Art Gallery, Seoul, Korea
The Garden of Color, Morning Calm Gallery, Gapyeong, Korea
2013The Flower of Desire, ASAN Foundation Gallery, Seoul, Korea
2012The Flower of Desire, Gallery We, Seoul, Korea
The Flower of Desire, Gallery KU, Seoul, Korea
The Flower of Desire, Gallery GAIA, Seoul, Korea
2011The Flower of Desire, Gallery K, Seoul, Korea
2008Bloom, Gallery Gac, Seoul, Korea

Selected Group Exhibition

2021Want to Tell You, Dambit Art Warehouse, Damyang, Korea
Want to Tell You, Namuhwalang, Seoul, Korea
2020Voice of Night and Day, Superior Gallery, Seoul, Korea
Your Friend, Indiepress Gallery, Seoul, Korea
2019100 MOVIES 100 ARTISTS, Lotte Gallery Jamsil Avenuel Art Hall, Seoul, Korea
2018Botanic Garden, Art Major, Seoul, Korea
2017I DREAM charity action, Delight Square Gallery, Seoul, Korea
Hot Summer, Gallery ArtSoop, Busan, Korea
Reading Contemporary Art Trends, Ami Museum of Art, Dangjin, Korea
2016Powerful Gang-Won, Chuncheon Museum, Chuncheon, Korea
Art and the City, Weartgallery, Seoul, Korea
2015Encounter Latin & Korean Modern Art in Busan, Busan Cinema Center, Busan, Korea
2014Good Artist & Good Bag,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Shop, Seoul, Korea
2012Small Masterpiece, Lotte Department Store, Seoul·Busan, Korea
House of the Edition, Shinsegae Department Store Gallery, Seoul, Korea
2011AND…TOGETHER, Jean Art Center, Seoul, Korea
2009Communicate & Exhibit, Contemporary Art Museum in Hongik University , Seoul, Korea

Art Fair

2021URBAN BREAK 2021, Coex, Seoul, Korea
2020KIAF ART SEOUL 2020, Online Viewing Room, Online
2019Seoul Art Show, Coex, Seoul, Korea
Daegu Art Fair 2019, Exco, Daegu, Korea
Art Asia, Coex, Seoul, Korea
Harbor Art Fair, Marcopolo Hotel, Hongkong
2018KIAF 2018 ART SEOUL, Coex, Seoul, Korea
Art Busan 2018, Bexco Busan, Korea
2017Daegu Art Fair 2017, Exco, Daegu, Korea
Gwangju International Art Fair, Kimdaejung Convention Center, Gwangju, Korea
KIAF 2017 ART SEOUL, Coex, Seoul, Korea
LA Art Show, LA Convention Center, LA, USA
2016Affordable ART FAIR, DDP, Seoul, Korea

Collection

2021KESSON Co., Ltd
2019Gwangju Museum of Art
2013ASAN Hospital, White Medical Group
2010, 2007, 2006Samsung TESCO ‘Home Plus’
2009KASCO
2006The Korea Crafts Association

National Competition Selection

2020Support for pre-exclusive painter, Art Management Support Center
Support for fostering culture and arts, Chuncheon Cultural Foundation
2019Support for professional art creation, Gangwon Art & Cultural Foundation
2018Support project for the very first step, Gangwon Art & Cultural Foundation

계선 산소통

임직원 및 협력사와의 소통을 강화하고 고충 및 제안사항을 신속히 해결하고자 마련한 신문고입니다.
계선에 바라시는 건의사항, 불편사항, 부조리 등 어떤 이야기라도 보내주시면 적극 검토하겠습니다.

    소중한 의견이 배달되었습니다.

    소중한 의견 배달에 실패했습니다.
    나중에 다시 시도하시기 바랍니다.